[지식정보] 혁신경제 창조를 위한 문화(culture)관련된 원칙
[회원가입 하시면 원문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제4차 산업혁명의 産室인 혁신경제센터가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원칙을 장소(place), 문화(culture), 인재(talent)로 구분해 볼 수가 있는데 그 중에 문화에 대한 원칙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자료/재인용:
Urban Land Institute “Technology, Real Estate and the Innovation Economy” Appendix Case studies
델코지식정보 http://www.delco.co.kr/#!knowledge/smwvx/category/도시·지역·복합개발
혁신경제 창조를 위한 문화(culture)관련된 원칙
공공/민간 파트너쉽은 문화를 개발하여 혁신을 번창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이다.
- 공공분야는 혁신경제 환경을 확산하고 장려하는데 촉매제 같은 역할을 한다.
- 공공분야는 초기부터 확고한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민간분야와 협의해나가는 구조를 짜서, 장기적인 비전에 맞춰 혁신경제지역의 중요 핵심 토지를 재개발해야 한다.
- 공공분야는 전체적인 비전과 틀을 제공하지만 핵심적인 실행결정은 민간분야에 의해 만들어진다.
- 아카데믹 리서치 기관과 민간 분야가 공동으로 혁신센터 개발도 하나의 공공/민간 파트너쉽
혁신을 위한 비전을 개발해야 한다. 이때 모든 파트너와 공동협력자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 확고하면서도 장기적인 비전을 개발하고, 핵심 파트너와 공동 협력자를 얻는 것이 중요
- 시정부가 기업가처럼 행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여, 돈, 토지, 및 거래를 다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 비전을 공공분야에서만 반듯이 수립/제공할 필요는 없다. 민간에 의해 비전 수립도 가능하다.
리스크 감수를 격려하고 실수허용을 받아들여야 한다.
- 시정부는 기업가 정신을 개발하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 시정부는 주요한 디벨로퍼와 협상을 함에 있어서 위험감수는 당연히 중요하며, 이를 통해 투자와 재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
- 일부 실수는 있을 수 있고 실패하더라도 의사결정과 협상은 기꺼이 해야 하며, 이는 성공의 대가로서 불가피한 것이다.
공공분야와 민간분야가 리더쉽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
- 공공의 리더쉽은 가치에 바탕을 둔 폭넓은 비전을 수립하고, 공공지원을 결절하며, 그리고 나서 비전을 실행해야 한다.
- 비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유치가 필요. 민간유치에 필요한 수단과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적합한 민간 디벨로퍼/투자자와 협상과 파트너쉽이 필요하다.
- 민간분야의 역할은 프로젝트를 디자인하여, 공공 비전의 달성과 합리적인 이익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공공 모델은 민간기업이 의사결정을 최대로 많이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 즉, 의미 있는 사회적 영향을 창출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민간기업을 위해 지속 가능한 경제적 기회를 창출해 주는 것이다.
- 지역사회의 환경 디자인에서 리더쉽의 역할은 구체화 조직화 되고 있는 문화 니즈를 충족시키고,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비공식 상호작용과 아이디어 교환을 장려하는 환경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 만약 정부가 적절한 수단과 인센티브를 갖고 있지 못하면, 민간분야가 선도를 하게끔 하는 방법도 있다.
- 시정부 혼자만으로는 많은 일을 할 수 가 없지만, 민간이 참여하는 유기체적인 과정이 많아 질수록, 그 과정 속에서 사람들은 차별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
- 거리의 전경을 개선하여 주요 민간 투자를 장려하는 사례도 있다.
예술에 투자하고 잘 가꿔야 한다. 예술은 혁신경제 엔진의 중요한 요소 이다.
- 예술은 틀이 잘 갖춰진 도시를 창출하고 최고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 예술 속에서 학생, 체인지 메이커, 기업가, 현지 음식, 및 기술은 모두 상호작용을 하면서, 크리에이티브한 조직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고/ 상호연계하며/ 혁신지역의 일부가 된다.
- 디자인과 기술이 결합하면서 다양한 지식체계가 창출(제품 디자인, 산업 디자인, 첨단 엔지니어링, 의료무선(medical wireless), 정보 그래픽(infographics), 생체모방디자인(biomimetic design), 그래픽 디자인, 비디오 게임밍, 2-D t~3-D 애니메이션, 미디어, 및 제작 후 편집(postproduction), 건축/전경 디자인, 가구 디자인 등)
- 상호 돕는 구조로 인해 한 장소에서 매장전개 하는 경향도 증가.
- 음악 장르의 품질은 도시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거대한 일부로, 기술지향의
젊은이들은 고밀도, 도시, 다양성, 흥미 있는 지역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그 곳에서 살고 싶어 한다. 따라서
도시는 문화 예술을 활기/창조적 자극 등과 믹스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공공/민간 파트너쉽은 문화를 개발하여 혁신을 번창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 이다.
- 공공분야는 혁신경제 환경을 확산하고 장려하는데 촉매제 같은 역할을 한다.
- 공공분야는 초기부터 확고한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민간분야와 협의해나가는 구조를 짜서, 장기적인 비전에 맞춰 혁신경제지역의 중요 핵심 토지를 재개발해야 한다.
- 공공분야는 전체적인 비전과 틀을 제공하지만 핵심적인 실행결정은 민간분야에 의해 만들어진다.
- 아카데믹 리서치 기관과 민간 분야가 공동으로 혁신센터 개발도 하나의 공공/민간 파트너쉽
혁신을 위한 비전을 개발해야 한다. 이때 모든 파트너와 공동협력자들의 동의가 필요하다.
- 확고하면서도 장기적인 비전을 개발하고, 핵심 파트너와 공동 협력자를 얻는 것이 중요
- 시정부가 기업가처럼 행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여, 돈, 토지, 및 거래를 다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 비전을 공공분야에서만 반듯이 수립/제공할 필요는 없다. 민간에 의해 비전 수립도 가능하다.
리스크 감수를 격려하고 실수허용을 받아들여야 한다.
- 도시는 기업가 정신을 개발하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 시정부는 주요한 디벨로퍼와 협상을 함에 있어서 위험감수는 당연히 중요하며, 이를 통해 투자와 재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
- 일부 실수는 있을 수 있고 실패하더라도 의사결정과 협상은 기꺼이 해야 하며, 이는 성공의 대가로서 불가피한 것이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22@Barcelona 사례
- 바르셀로나 시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위험이 무엇인지 파악해가면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
공공분야와 민간분야가 리더쉽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
- 공공의 리더쉽은 가치에 바탕을 둔 폭넓은 비전을 수립하고, 공공지원을 결절하며, 그리고 나서 비전을 실행해야 한다.
- 비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유치가 필요. 민간유치에 필요한 수단과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적합한 민간 디벨로퍼/투자자와 협상과 파트너쉽이 필요하다.
- 민간분야의 역할은 프로젝트를 디자인하여, 공공 비전의 달성과 합리적인 이익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공공 모델은 민간기업이 의사결정을 최대로 많이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 즉, 의미 있는 사회적 영향을 창출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민간기업을 위해 지속 가능한 경제적 기회를 창출해 주는 것이다.
- 지역사회의 환경 디자인에서 리더쉽의 역할은 구체화 조직화 되고 있는 문화 니즈를 충족시키고,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비공식 상호작용과 아이디어 교환을 장려하는 환경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 만약 정부가 적절한 수단과 인센티브를 갖고 있지 못하면, 민간분야가 선도를 하게끔 하는 방법도 있다.
- 시정부 혼자만으로는 많은 일을 할 수 가 없지만, 민간이 참여하는 유기체적인 과정이 많아 질수록, 그 과정 속에서 사람들은 차별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
- 거리의 전경을 개선하여 주요 민간 투자를 장려하는 사례도 있다.
예술에 투자하고 잘 가꿔야 한다. 예술은 혁신경제 엔진의 중요한 요소 이다.
- 예술은 틀이 잘 갖춰진 도시를 창출하고 최고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 예술 속에서 학생, 체인지 메이커, 기업가, 현지 음식, 및 기술은 모두 상호작용을 하면서, 크리에이티브한 조직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고/ 상호연계하며/ 혁신지역의 일부가 된다.
- 디자인과 기술이 결합하면서 다양한 지식체계가 창출(제품 디자인, 산업 디자인, 첨단 엔지니어링, 의료무선(medical wireless), 정보 그래픽(infographics), 생체모방디자인(biomimetic design), 그래픽 디자인, 비디오 게임밍, 2-D t~3-D 애니메이션, 미디어, 및 제작 후 편집(postproduction), 건축/전경 디자인, 가구 디자인 등)
- 상호 돕는 구조로 인해 한 장소에서 매장전개 하는 경향도 증가.
- 음악 장르의 품질은 도시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거대한 일부로, 기술지향의 젊은이들은 고밀도, 도시, 다양성, 흥미 있는 지역에 대해 매력을 느끼고 그 곳에서 살고 싶어 한다. 따라서 도시는 문화 예술을 활기/창조적 자극 등과 믹스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