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12가지 원칙
[회원가입 하시면 원문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미래의 일자리인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도심에서의 혁신경제지역을 만드는 것이 지금 글로벌 대도시가 하고 있는 중요한 역할이 되고 있다. ULI에서는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원칙을 설정하고 있다. 이들 원칙은 장소/문화/인재로 다시 그 원칙이 구분된다.
자료/재인용:
Urban Land Institute “Technology, Real Estate and the Innovation Economy” Appendix Case studies
델코지식정보 http://www.delco.co.kr/#!knowledge/smwvx/category/도시·지역·복합개발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12가지 원칙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12가지
원칙
① 경제적 발전을 위해 큰 기관, 다른 기업, 및 동료들과 협업(collaborate)을 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이슈.
-학술 기관과 관련 산업과 가까이 위치하는 근접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순수 리서치에서 나온 아이디어를 상업적 리서치나 응용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작은 차원에서, 공공과 민간 영역간에 비공식적 상호작용 기회가 많아질수록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지고 많은 아이디어가 싹트게 된다.
② 공공민간 파트너쉽은 문화를 발전시켜 혁신을 번창하게 하는 데 필수적이다.
③ 전통적 자산과 신 기술을 혼합해야 한다.
-방법은 글로벌 시장에서 자산들을 꾸준히 재결합하고 기능이 발휘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가 이러한 역동성을 갖고 초점을 두어야 대상은 문화의 변화와 창조에 신속히 대응하고 채택하는 것으로, 단기적인 결과 보다는 장기적인 생각과 투자에 치중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지역 경제발전을 책임지는 조직이 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다.
④ 글로벌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른 도시들과 연계를 맺어야 한다.
-특히 인프라 계획과 투자는 연계가 핵심이다.
⑤ 혁신을 위한 비전을 개발해야 한다.
-여기에는 모든 파트너와 협력자들의 동의과정이 필요하다.
⑥ 위험 감수를 격려하고 실패를 받아드려야 한다.
⑦ 공공과 민간 분야는 리더쉽 책임을 반듯이 분담해야 한다
.
⑧ 개인영역의 독창성을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여기에는 투자/재투자 전략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우리 지역의 벤처 캐피털 능력을 파악하고 레버리지 효과를 올리는 전략을 발전시켜야 한다.
⑨ 다양성이 혁신의 중요한 추진동력이란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양성은 문화/인구특성 요소와 도시 디자인, 지역사회와 이웃, 지역경제 및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⑩ 부동산 복합용도 사용은 새로운 시너지를 장려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⑪ 예술에 투자하고 육성해야 한다.
-예술은 혁신경제 엔진의 중요한 요소 이다.
-지식기반형 노동력은 예술의 수요자 역할을 한다.
⑫ 창조적인 에너지를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의 불꽃을 일으키는 환경과 문화를 창출해야 한다.
혁신경제를 창조하기 위한 12가지 원칙
- 이상에서 살펴본 원칙들은 크게 3가지 그룹으로 구분이 가능:
장소(place), 문화(culture), 인재(talent)
Ø 장소 관련된 원칙: 입지적 관계와 도시계획 등 고려요소와 관련
Ø 문화 관련된 원칙: 혁신적인 환경을 창출을 지원하는 기풍과 관련
Ø 인재 관련된 원칙: 교육을 받은 양질의 창의적 개인들을 혁신센터 지역으로 끌어들이는 데 기여하는 것과 관련
자료/재인용: Urban Land Institute, “Technology, Real Estate, and the Innovation Economy”, 2015년 9월
장소(place) 관련된 원칙
① 경제적 발전을 위해 큰 기관, 다른 기업, 및 동료들과 협업(collaborate)을 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이슈. 학술 기관과 관련 산업과 가까이 입지하는 근접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순수 리서치에서 나온 아이디어를 상업적 리서치나 응용으로 전환해야 한다. 작은 차원에서도 공공과 민간 영역간에 비공식적 상호작용 기회가 많아질수록 편안한 대화 기회도 많아지고 많은 아이디어가 싹트게 된다.
②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여 도시는 다른 도시들과 연계를 맺어야 한다. 여기에는 인프라 계획과 투자가 핵심이다.
③ 전통적인 자산을 새로운 기술과 융합시켜라.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 자산을 재결합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기능을 꾸준히 채택해야 한다. 이러한 역동성을 통해 단기적인 결과 보다는 장기적인 생각과 투자에 빠르게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모니터링은 지역 경제발전 기관을 위해서도 필히 가져야 하는 좋은 역할 이다.
④ 복합용도 사용이 새로운 시너지를 장려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을 선도한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culture) 관련된 원칙
① 공공 민간 파트너쉽은 문화를 발전시켜 혁신을 번창하게 하는데 필수적이다.
② 혁신을 위한 비전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때 비전은 모든 파트너와 콜라보레이션 참여자들이 공감해야 한다.
③ 위험 감수를 격려하고 실패를 받아들여야 한다.
④ 공공과 민간분야는 리더쉽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예술에 투자하고 보호 육성해야 한다. 예술은 혁신경제 엔지의 중요한 요소이다.
인재(talent) 관련된 원칙
① 투자/재투자 전략을 수립 시에 개별적인 지역 특수성을 잘 활용해야 한다. 속해있는 지역의 벤처 캐피털 능력을 이해하여 자금조달 레버리지로 활용하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독특하고 차별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지역은 이를 활용하여 최고 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독창성(uniqueness)”이 중요하다.
② 환경과 문화 창출을 통해 창조적인 에너지를 번창하게 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의 불꽃을 일으켜야 한다. 이를 위해 실험과 경쟁을 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③ 다양성은 혁신의 중요한 추진동력이란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양성이 포함하는 요소들은 문화적 인구특성적 요소, 도시 디자인, 지역사회와 인근 동네, 현지의 지역경제, 및 기타 요소 등을 포함한다.
요약: Innovation Economy + Art/Culture + Education + Real Estate Development = A Powerful Formula for Great City Building in the 21st Century
- 결론적으로 21세기 위대한 도시 구축을 위한 강력한 공식은 혁신경제+예술/문화+교육+부동산개발이 함께 해야 한다.
- 이러한 결론을 잘 활용하는 것이 지금과 같은 거대한 변화 시기에 기회를 잘 활용하는 길이 된다.
- 글로벌 경기침체는 오히려 위와 같은 결론을 얻게 한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인구특성도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 사회의 모든 관점에서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예를 들어 도시 디자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상호교감 활동과 도시를 구축하는 방법에 변화를 줘야 할 필요가 있다.
- 위에서 정리한 공식은 혁신을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하여, 공공과 민간분야 모두에게 거대한 비즈니스 개발 수단이 되고 있다.
- 이러한 전략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교육받은 노동력, 벤처캐피털에 대한 접근, 및 커다란 도시 어메니티가 필요 하다.
- 혁신적인 기업과 근로자들은 자신들이 속해있는 도시가 이런 역할 해주길 바라고 있다.
- 도시는 혁신 허브의 창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 도시는 그 도시만의 독창적인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해서, 이를 자신들의 도시경제 내에서 잘 활용하여 경제분야를 발전시켜야 한다.
- 도시인의 가치가 도시의 비전에 발 반영되면 공공/민간 분야는 더욱 번성할 것이고, 이 때에 단계적인 리더쉽 발휘가 필요하다.
- 공공/민간 분야의 공동 리더쉽이 없다면, 이러한 대담하고 협업하는 전략은 이내 실패할 것이다.
- 혁신경제를 창조하는 역동성이 계속해서 진화 발전하고 이를 토지사용에 반영하는 것이 도시 부동산이 해야 할 역할이다.
*혁신경제센터(지역)
부동산 공급자로서의 미시적/거시적 요인
자료/재인용: Urban Land Institute, “Technology, Real Estate, and
the Innovation Economy”, 2015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