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4차산업과 리테일 신기술 (AI, VR 등)
[회원가입 하시면 원문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2017년 다보스포럼은 4차 산업혁명을 본격적인 주제로 다루고 있다. 4차산업 중에 리테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신기술의 트렌드를 살펴보기로 한다.
자료
World Economic Forum. DigitalTransformation of Industries, Jan, 2016.
재인용: 현대경제연구원 “2017년 다보스 포럼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이 필요” 2017.01.13
A.T. Kearney 상공회의소 유통위원회 “Future of Retail” - 미래 디지털 혁명과 유통산업 전망
2017년 다보스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 주제 본격화
-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들이 융합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
- 공유경제/온디맨드 경제의 기본인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많이 등장.
-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융합.으로 비약적인 기술 발전. IoT(사물인터넷), 모바일, 인공지능 등 기술 결합. 결국 제품가격 하락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충족 (과거 자동차 사례).
- 기술력과 플랫폼을 갖춘 기업들 대거 등장으로
경쟁구도 심화 전망. 포춘 500대 기업이 시가 총액 10억 달러 이상을 달성하는데 평균적으로 20년 소요. 하지만 최근 디지털 플랫폼 신생기업인 구글 8.1년, 우버 4.3년, 샤오미 1.7년 만에 시가 총액 10억 달러 이상 달성
글로벌 리테일 시장 규모
- 전세계 리테일 시장 2019년 규모 30조 달러 전망
- 아시아 5개국이
주도 예상.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 중국이 연평균 9%대 성장으로 전세계 시장의 10% 차지 전망
AI(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향후 전망
- 인공 지능은 1950년대 최초 소개. 2045년경 인간의 지능에 도달 전망.
- AI는 다양한 인지 기술을 통해 받아들인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목적 달성을 위한 의사 결정 및 행위를 하는 체계
- AI의 정의: 기계가 스스로 보고 인지하고 (Sensing & Recognizing), 깨닫고 이해하며 (Understanding), 경험을 기억하고 참조하여 (Knowledge Base) 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게 (Decision & Action) 해주는 기술
AI를 위한 경쟁
- Google, Facebook, Amazon, Apple 등이 Artificial Intelligence 스타트업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 중.
- AI회사의 약 60%가 지난 3년간 인수한 회사들은 가상현실 전문 기업들이다.
- AI를 선도하는 20개 이상의 민간기업들을 지난 3년간 대기업(Google, Amazon, Apple, IBM, Yahoo, Facebook, Intel, Salesforce)이 인수
- Google은 가장 지배적인 글로벌 플레이어로 5개의 주요 기업을 인수.
Google의 AI 활용
- Google(Alphabet)은 AI 기술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기회를 선점하기 위하여 전향 단계
- AI신기술을 활용한 차별화를 통해 플랫폼 사업 확장을 목표로 신사업 추진
- “Anather Android & Native” AI 전반을 선제적으로 장악 시도.
- 후발주자들은 ‘지역적/ 산업별 Niche’ 모색 혹은 Alphabet에 편승해야 할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