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 Pop-Up Shop과 리테일 혁신의 힘
[회원가입 하시면 원문 PDF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소매업계는 지금 펍업 매장을 활용하여 새로운 힘을 얻고 있다. 펍업 매장은 대개의 경우 1일~3개월 정도 운영하면서, 예술품, 패션, 엔터테인, 가구, 식음 등 고객이 필요한 모든 것을 융합하여 전개하고 있다.
자료/재인용
http://urbanland.uli.org/spring-meeting/power-pop-ups-retail-innovations/
http://www.miva.com/blog/bring-your-ecommerce-store-to-life-with-a-pop-up-shop/
델코지식정보 해외리테일 http://www.delco.co.kr/#!knowledge/smwvx/category/해외리테일
시사점
- 펍업 매장의 특징을 보면, ①대개의 경우 1일~3개월 정도 운영한다. ②MD 믹스는 예술품, 패션, 엔터테인, 가구, 식음 등 고객이 필요한 모든 것을 융합하여 전개할 수 있다. ③입지는 걸어서 접근하기 편하다면 어느 장소이건 관계 없다. 예를 들어 쇼핑몰이나 도시 중심부 등 ④상품가격이나 임대료는 전통적인 리테일 점포보다는 싸다. ⑤브랜드 인지도를 처음으로 창출하여 선을 보이거나, 새로운 상품을 테스트하기에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 지금 리테일 업계는 여러 다양한 방법의 pop-up 매장을 활용하고 있다. 기존의 브랜드는 거의 동일한 개념만 고객에게 제안하고 있지만, 펍업 리테일은 항상 새로우면서 차별화된 그 어떤 것을 제공한다.
- 펍업은 일시적인 활동으로 단기적이지만 기대감을 창출하여 고객에게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소비자들은 주변의 세상 속에 자신이 투영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 펍업은 빈 공간(shell space), 아웃도어 시장, 및 재개발 진행중인 부동산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고 그 이상의 공간에서도 가능하여, 기존의 건물형 스토어에도 강하게 전개.
- 펍업 매장은 건물주 입장에서도 환영할 만한 일. 특히 새로운 디자이너들은 재능 발휘가 더 뛰어나기에 이들이 펍업 매장을 열어 마케팅, 소비자 관계 증진, 시끌벅적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도록 도와주면 부동산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
- 시끌벅적한 분위기 창출(creating buzz)은 다양한 이벤트(예를 들어 영화의 밤 movie nights)를 통한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방문객과 고객을 끌어들여야 지속 가능한 효과가 있다.
- 단기적으로는 펍업이 이익은 없겠지만, 도시 지역에 변화를 주는 고도로 성공적인 방법이다.
- 전문적인 리테일 상품 제안 외에도, 펍업은 예술관련부터 요가수업과 음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수렴한다. 많은 프로젝트에서 펍업 매장은 지금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컨셉은 벽지의 공간을 방문하고픈 목적지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 미국 소매업체와 관련 부동산 소유자들은 지금 여러 다양한 방법의 pop-up 매장을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 기존의 브랜드는 거의 동일한 개념만 고객에게 제안하고 있지만, 펍업 리테일은 항상 새로우면서 차별화된 그 어떤 것을 제공한다.
- 펍업은 일시적인 활동으로 단기적이지만 기대감을 창출하여 고객에게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소비자들은 주변의 세상 속에 자신이 투영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어 Imagination in Space 회사(New York City 본사를 둔 creative retail agency 회사)는 Goldmind라는 새로운 펍업 스토어를 뉴욕 브루클린의 Williamsburg 지역에 오픈하여 젊은 개념의 패션, 가구, 및 라이프스타일을 전개한다.
* Goldmind의 펍업 매장 사례:
약 3일간 펍업 매장 운영. “Artists & Fleas Williamsburg”라는 개념으로 예술과 지역의 벼룩시장이라는 컨셉을 매장에 전개. 상품은 지역 정서에 맞는 상픔 위주로 전개.
자료/재인용 http://imaginationinspace.com/projects-1/2016/4/7/goldmind-at-artists-fleas
- 뉴욕 Manhattan의 South Street Seaport의 펍업 Seaport Studios 사례를 살펴보자. Howard Hughes Corporation가 추진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장기간 소요되는 부동산 재개발(reposition) 지역에서 지속적인 펍업 매장으로 운영. 임대수입에 관한 관점보다는 준공 후 어떤 고객들이 올 것인지에 초점을 두고 시끌벅적 하며서 많은 사람들이 줄지어 방문하는 개념을 목표. 이 지역은 1980년대 페스티발 시장장소로서 번성을 누리면서 인기 있는 관광지였지만, 2012년 Hurricane Sandy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 Hughes 회사가 펍업이라는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참여. 기존의 3층짜리 내부 지향형 건물을 살려 부룩클린 다리를 전망할 수 있으면서 문화, 엔터테인, 식사, 리테일 샵의 변형된 컨셉을 제공. 펍업 Seaport Studios의 2015년 여름 오픈에 컨템포러리 스타일을 대표하는 여러 독립 브랜드를 파트너로 초청하여 그들의 디자인을 한 리테일 공간에서 전시판매. 당시 수천 명의 사람들이 패션, 디자인, 예술, 및 음식 등 다방면에 걸친 융합에 매력을 느꼈다.
- 이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Hughes 회사는 Michelin three-star급 레스토랑(타이어 회사 미쉘린이 인증하는 맛 집)으로 유명한 Jean Georges과 장기 임대차 계약을 체결.
* 뉴욕 Manhattan의
South Street Seaport의 펍업 Seaport Studios 사례(Howard Hughes Corporation 추진)
* South Street Seaport의 펍업 Seaport Studios
사진자료: http://www.empireartists.jp/
사진자료; http://ny.curbed.com/neighborhood/1406/south-street-seaport
- 그러나 펍업은 빈 공간(shell space), 아웃도어 시장, 및 재개발 진행중인 부동산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고 그 이상의 공간에서도 가능하여, 기존의 건물형 스토어에도 강하게 전개되고 있다.
- Macy’s는 자신의 최초 Etsy을 오픈. 상징정인 Herald Square 플래그쉽 스토어로 전문가에 의한 아이템 선정
* Macy’s Etsy매장
사진자료: https://blog.etsy.com/news/2016/the-etsy-shop-launches-at-macys-herald-square/
사진자료: http://inhabitat.com/nyc/etsy-opens-new-shop-inside-macys/
- Gap은 온라인 구매용 미용상품인 Birchbox과 인기 있는 안경 브랜드인 Warby Parker를 활용하여 개조한 스쿨버스를 펍업 매장으로 전개.
* Gap은 Birchbox와 Warby Parker 상품을 개조한 스쿨버스에서 펍업 매장으로 전개
사진자료: https://gotentrepreneurs.com/warby-parker/
사진자료: http://www.miva.com/blog/bring-your-ecommerce-store-to-life-with-a-pop-up-shop/
- Celebrities도 최근에 뉴욕 소호 지역에 있는 Kanye West에 펍업 매장을 열어 일주일 만에 의류 1백만 달러를 판매.
* Celebrities의 뉴욕 소호 Kanye
West 펍업
사진 자료: http://www.complex.com/style/2016/03/look-inside-kanye-west-pablo-pop-up-nyc
- 펍업 매장은 건물주 입장에서도 환영할 만한 일이다. 특히 새로운 디자이너들은 재능 발휘가 더 뛰어나기에 이들이 펍업 매장을 열어 마케팅, 소비자 관계 증진, 시끌벅적한 분위기를 만들어 내도록 도와주면 부동산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 Hughes 회사는 이를 위해 Pop-Up Mob라 불리는 그룹과 파트너쉽을 맺어 POS시스템, 고객 상호작용, 보안, 및 기타 기능을 다루고 있다.
- 시끌벅적한 분위기 창출(creating buzz)은 다양한 이벤트(예를 들어 영화의 밤 movie nights)를 통한 추가적인 노력을 통해 방문객과 고객을 끌어들여야 지속 가능한 효과가 있다.
- 펍업은 전도가 유망한 리테일러에게 농장 시스템과 같다. 건물주의 경우에도 종종 무료로 공간을 제공하여 펍업 운영자들과 공동 리테일링을 할 필요가 있다. 건물주에게 이러한 행위는 로스 리더(loss leader) 같이 보이겠지만, 처음에 무료로 테난트를 일단 끌고 온다면 그 이후 더 많은 리테일러들이 찾아와서 임대료를 지불하고 공간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 단기적으로는 펍업이 이익은 없겠지만, 도시 지역에 변화를 주는 고도로 성공적인 방법이다. 뉴욕시의 the Lower East Side’s Hester Street Fair는 전도유망한 레스토랑과 초기 리테일러에게는 토대를 쌓는 장소가 되고 있다. 펍업 리테일은 New York’s Meatpacking District, 캘리포니아 베니스의 Abbot Kinney Boulevard , 마이애미의 Wynwood 등을 변화시켰다.
- 전문적인 리테일 상품 제안 외에도, 펍업은 예술관련부터 요가수업과 음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수렴한다. 많은 프로젝트에서 펍업 매장은 지금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컨셉은 벽지의 공간을 방문하고픈 목적지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 New York시 Lower East Side의 Hester Street Fair
* New York’s Meatpacking District
사진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fOItU1soS1o
* Abbot Kinney Boulevard in Venice, California
* Miami’s Wynwood neighborhood
사진자료:http://www.wheretraveler.com/miami/best-hipster-hangouts-miami-s-wynwood-neighborhood